주의: 14FR 이상 튜브 풍선의 경우 총 풍선 체적이 10ML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기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풍선에 대조제를 주입하지
마십시오.
6. 튜브 및 소구관에서 잔류 액체 및 윤활제를 세척합니다.
Bolus 및 SECUR-LOK* 확장 세트 어셈블리
1. 위장 급식 및 위장 감압용 Bolus(그림 4) 또는 SECUR-LOK*(그림 3) 확장
세트를 사용합니다.
2. 급식 포트 커버를 엽니다(그림 2B).
3. SECUR-LOK*(그림 3C) 또는 Bolus(그림 4B) 확장 세트를 잠금 및 키 커
넥터와 맞추어 삽입합니다. 세트의 흑색 선을 MIC-KEY*(그림 2C) 급식
포트의 흑색 선과 정렬시킵니다.
4. 약간의 저항력이 느껴질 때까지 커넥터를 밀고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약 1/4 돌림) 세트를 고정시킵니다. 커넥터를 정지 점을 지나도록 돌리지
마십시오.
5. 확장 세트를 제거하려면 확장 세트의 흑색 선이 MIC-KEY*의 흑색 선과
정렬될 때까지 확장 세트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립니다. 세트를 제거
하고 포트에 부착된 포트 커버를 씌웁니다.
튜브 위치 및 통기성 확인
1. 두 확장 세트 중 하나가 연결된 상태에서 10ml의 물이 들은 카테터-팁
주사기를 급식 포트에 부착시킵니다.
2. 위장 내용물을 흡인합니다. 주사기에 위장 내용물이 들어있으면 위장
내의 튜브 위치가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3. 10ml의 물을 채웁니다. 삽입 구멍 부근에 누출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누출이 있으면 풍선이 정확히 팽창되었는지 다시 확인합니다. French 크
기, 삽입 구멍 길이, 그리고 교체를 점검합니다. 배치가 방사 분석적으
로 적절하게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튜브에는 MIC-KEY*의 방사선 불투
과성 선이 있습니다. 풍선 안쪽에 대조제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4. 외과 의사 지시에 따라 튜브가 정확히 교체되고 통기성이 있는지
확인한 후에 급식을 시작합니다.
튜브 제거
1. 먼저 이 유형의 튜브를 침대에서 교체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2. 모든 장비 및 공급품을 조립하고 무균 장치를 사용하여 손을 씻고
깨끗하고 분말 없는 장갑을 착용합니다.
3. 튜브를 360도 돌려 튜브가 자유롭게 쉽게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4. leur 슬립 주사기를 풍선 포트에 단단히 삽입하고 풍선에서 모든
액체를 제거합니다.
5. 복구에 역압을 가하고 튜브를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주의: 저항이 발생할 경우 튜브 및 삽입 구멍을 수용성 윤활제로
매끄럽게 합니다. 튜브를 누르면서 돌립니다. 튜브를 조심스럽게
조작합니다. 튜브가 나오지 않을 경우 풍선에 지정된 양의 물을 다시 채
우고 외과 의사에게 알리십시오. 튜브를 제거하기 위해 과도한
힘을 주지 마십시오.
경고: 외과 의사 또는 기타 의료관리 제공자에게 교육을 받은 후
튜브를 교체하십시오.
교체 절차
1. 삽입 부위 주변 피부를 세척하고 마를 때까지 기다립니다.
2. Kimberly-Clark* 위장 측정 기기로 위장 길이를 측정합니다.
3. 위에서 설명한 튜브 준비 섹션의 지침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MIC-KEY* 위루 급식 튜브를 선택하여 준비합니다.
4. 수용성 윤활제로 튜브 끝을 매끄럽게 한 후 삽입 구멍을 통해
MIC-KEY*를 위장으로 천천히 삽입합니다.
5. 외부 볼스터가 피부와 높이가 같은지 확인합니다.
6. 6ml leur 슬립 주사기를 사용하여 풍선을 팽창시킵니다.
• 12 FR 풍선에 3ml의 멸균수 또는 증류수를 주입합니다.
• 14 FR 이상 튜브 풍선에 5 ml의 멸균수 또는 증류수를 주입합니다.
주의: 12FR 풍선 내의 총 풍선 체적이 5ML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기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풍선에 대조제를 주입하지 마십시오.
주의: 14FR 이상 튜브 풍선의 경우 총 풍선 체적이 10ML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기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풍선에 대조제를 주입하지
마십시오.
7. 튜브 및 소구관에서 잔류 액체 및 윤활제를 세척합니다.
8. 위에서 설명한 튜브 위치 확인 섹션의 지침에 따라 튜브가 적절한 위치
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급식 관리
1. 급식 포트 플러그(그림 3A)를 제거합니다.
2. 주사기로 급식하는 경우, 카테터-팁 주사기를 볼루스 확장 급식 포트(그
림 4A)로 연결시킵니다. 단단히 밀고 1/4정도 돌려서 확실히 연결되도
록 합니다.
106
3. 급식 백을 사용하는 경우, 백과 튜브의 공기를 제거합니다. SECUR-LOK*
확장 세트(그림 3B)에 튜브를 연결합니다. 단단히 밀고 1/4정도 돌려서
확실히 연결되도록 합니다.
4. 유동식의 흐름을 조절하면서 급식을 투여합니다.
5. 급식이 끝나면 튜브가 깨끗해질 때까지 20ml의 온수로 확장
세트와 MIC-KEY*를 씻어냅니다.
6. SECUR-LOK* 또는 Bolus 확장 세트를 분리하고 급식 포트
플러그(그림 2B)를 교체합니다.
7. 확장 세트 및 카테터 팁 주사기나 급식 백을 따뜻한 비눗물로
씻어내고 철저히 행굽니다.
8. 펌프로 지속적으로 급식을 하는 경우, 6시간마다 10ml ~ 20ml의 물로
MIC-KEY*를 씻어냅니다.
감압
1. Bolus 또는 SECUR-LOK* 확장 세트로 감압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2. Bolus(그림 4) 또는 SECUR-LOK*(그림 3) 확장 세트를
MIC-KEY*(그림 2)에 부착합니다.
3. SECUR-LOK* 확장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급식 포트 플러그를
제거합니다. 위장 내용물을 용기로 빼냅니다.
4. 감압 후에는 20ml의 온수로 확장 세트와 MIC-KEY*를 씻어냅니다.
5. 확장 세트를 제거하고 부착된 MIC-KEY* 플러그를 교체합니다
치료 조치
가능한 경우 약물 치료를 실시하고 약사와 상담하여 알약을 가루로
만들어 물과 혼합해도 안전한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안전한 경우 알약을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 물에 녹인 후 급식 튜브를 통해 주입합니다.
절대로 캡슐로 된 약을 가루로 만들거나 조제약과 혼합하지 마십시오.
카테터 팁 주사기를 사용하여 튜브에 지정된 양의 물을 주입합니다.
튜브 통기성 지침
적절한 튜브를 통한 주입 방법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튜브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다음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튜브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침입니다.
• 계속 급식하는 동안 4-6시간마다, 급식을 중단할 때마다, 간헐적인
급식 전후 또는 튜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최소 8시간마다 급식
튜브에 물을 주입합니다.
• 치료 조치 전후 및 치료 사이에 급식 튜브에 주입합니다. 이렇게
하면 약품이 조제약과 상호 반응하여 잠재적으로 튜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합니다.
• 가능한 경우 약물 치료를 실시하고 약사와 상담하여 알약을 가루로
만들어 물과 혼합해도 안전한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안전한 경우
알약을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 물에 녹인 후 급식 튜브를 통해
주입합니다. 절대로 캡슐로 된 약을 가루로 만들거나 조제약과
혼합하지 마십시오.
• 산성 제품은 조제약 단백질과 결합 시 실제로 튜브가 막힐 수 있기
때문에 크랜베리 주스 및 콜라와 같이 산성이 강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급식 튜브에 주입하지 마십시오.
일반 주입 지침
• 30-60cc 카테터 팁 주사기를 사용하십시오. 소형 주사기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사용할 경우 튜브 압력이 증가하여 잠재적으로 소형 튜브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 튜브 주입 시 상온의 수돗물을 사용합니다. 수돗물 품질이 의심되는
경우 멸균수가 적절할 수 있습니다. 물의 양은 환자의 상태,
의학적 상태 및 튜브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인 범위는 성인의
경우 10-50ml 및 유아의 경우 3-10ml입니다. 또한 수화 상태가
급식 튜브 주입에 사용되는 양에 영향을 줍니다. 대부분의 경우
주입량을 증가하면 추가 정맥 주사를 수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신장 질환 및 기타 액체 거부 반응이 있는 환자의 경우
통기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주입량만 주입해야 합니다.
• 튜브 주입 시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과도하게 힘을 줄 경우
튜브가 구멍이 나서 위장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환자 기록지에 사용한 물의 양과 시간을 기록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의료인이 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일일 치료 및 관리 체크 리스트
환자 검사
환자에게 통증, 압박 또는 불편함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 평가합니다.
삽입 부위 검사
환자에게 붉음, 자극, 부종, 종기, 압통,
체온, 발진, 고름 또는 위액과 같이 감염 증상이
있는지 평가합니다.
환자에게 압박 괴사, 피부 손상 또는 과다한
육아종과 같은 증상이 있는지 평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