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부가장치는 전문가의 입장에서 등측 부
가장치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추락의
상황이 발생시 발이 우선적으로 추락하는 경
우에 대안의 추락방지 부가장치로 사용됩니
다. 가슴 부가장치의 실제 사용분야는 가이드
타입 추락방지시스템이 장착된 래더 클라이
밍, 추락방지시스템용 오버헤드 셀프 리트렉
팅 라이프라인 (overhead self-retracting
lifeline)이 장착된 래더 클라이밍, 작업 포지셔
닝 및 로프 접근 등으로 이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슴 부가장치는 이동의 제한
또는 구조시에도 사용됩니다. 추락 시 가슴 부
가장치의 지탱을 받는 경우, 전신 하니스의 디
자인의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를 지탱하는
숄더 스트랩을 통하여 허벅지 주변에 하중을
전달하게 됩니다. 가슴 부가장치는 사용자가
추락 후에 앉거나 요람에서의 자세를 취하게
하며, 무게가 허벅지, 엉덩이 및 허리 아래 부
분에 집중하게 됩니다. 작업포지셔닝에 있어
서 가슴 부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신체의 수
직 자세에 기여합니다. 가슴 부가장치가 추락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는 전문가는 추락 시 발이 우선적으로
추락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허용되는 자유 낙하거리를 제한하는 것이 포
함될 수 있습니다. 조절이 가능한 체스트 스트
랩에 통합된 가슴 부가장치는 체스트 스트랩
이 위로 미끄러지면서 추락, 구출, 매달린 상태
에서 사용자의 목을 조를 수 있습니다...이러
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전문가는 가슴 부
가장치가 고정된 전신 하니스 모델을 고려하
는 것이 좋습니다.
12. 전면
전면 부가장치는 추락의 상황이 발생시 발이
우선적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가이드 타입 추
락방지 시스템과 연계한 래더 클라이밍 연결
부 역할을 하거나 작업 포지셔닝에 사용됩니
다. 추락 후 또는 작업 포지셔닝의 상황에서 전
면 부가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신체가 앉아 있는 위치를 취하게 함으로써 상
체가 수직으로 세워지며 무게가 허벅지 및 엉
덩이 부위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전면 부가장
치의 지탱을 받는 경우, 전신 하니스의 디자인
으로 인하여 골반 아래 스트랩을 이용하여 하
중을 직접 허벅지 주위와 엉덩이 아래에 전달
하게 됩니다. 전면 부가장치가 추락방지시스
템으로 사용이 되는 경우, 전문가는 추락 시 발
이 먼저 추락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
다. 여기에는 허용되는 자유 낙하거리를 제한
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13. 숄더
숄더 부가장치는 쌍으로 사용하며, 구조, 진입/
회수를 위해서 사용이 가능한 부가장치입니
다. 숄더 부가장치는 추락방지를 위해서 사용
되어서는 안 됩니다. 숄더 부가장치는 전신 하
니스 숄더 스트랩을 분리하기 위한 스프레더
파트를 포함하는 요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14. 허리 뒤편
허리 뒤편의 부가장치는 이동의 제한에 대해
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허리 뒤편의 부가장치
는 추락방지를 위해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
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동의 제한 이외의 다른
용도로 허리 뒤편 부가장치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허리 뒤편 부가장치는 사용자의 허리
에 대한 최소한의 하중에 국한되며, 사용자의
신체 전체 무게를 지탱하도록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15. 둔부
둔부 부가장치는 쌍으로 사용하며, 작업 포지
셔닝에 대해서만 사용합니다. 둔부 부가장치
는 추락방지를 위해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
다. 둔부 부가장치는 수목재배가, 전봇대를 클
라이밍하는 전기공, 콘크리트 보강용 강철봉
작업을 하고 벽면을 클라이밍하는 건축업계
종사자 등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는 추락방지 랜야드의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둔부 부가장치 (또는 전신 하니스의 기타 고정
점)에 보관해서는 안 됩니다. 여기에 걸려서 넘
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멀티플 레그 랜야드의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랜야드가 전신 하니
스와 착용자에 대하여 추가의 하중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6. 서스펜션 시트
서스펜션 시트 부가장치는 쌍으로 사용하며,
작업 포지셔닝에 대해서만 사용합니다. 서스
펜션 시트 부가장치는 추락방지를 위해서 사
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서스펜션 시트 부가장
치는 작업의 연장대에 매달려서 작업하는 경
우에 사용되는데, 사용자는 두 개의 부가장치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시트에 앉아서 작업
을 하게 됩니다. 고층 건물의 창을 청소하는 경
우에 사용됩니다.
장비의 사용자 점검, 보수 유지 및 보관
추락방지시스템 사용자는 최소한 제조사의 모
든 사용 지침에 따라서 점검, 보수 및 보관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속한 조직에서는 제조사의
사용 지침서를 구비하면서 모든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추락방지시스
템의 사용자 점검, 보수 유지 및 보관과 관련한
최소한의 요건에 대해서는 ANSI/ASSP
Z359.2 를 참조합니다.
1. 제조사의 사용 지침서에서 명시하는 점검
요건 외에도 사용자는 매번 사용 전에 점검을
하고, 추가적으로 외부 전문가로부터 최소한 1
년에 한 번씩 다음에 대한 점검을 받습니다:
- 판독이 어려운 마킹이 없음
- 장비의 형태, 핏 또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음
- 하드웨어에 대한 크랙, 뾰족한 엣지, 변형, 부
식, 화학 침식, 과도한 열, 개조 및 과도한 마
모 등의 파손이의 증거
- 스트랩 또는 로프가 닳아 헤짐, 엉킨 것이 풀
림, 꺾임, 매듭, 로핑, 스티치가 망가지거나 당
겨짐, 과도한 신장, 화학 침식, 훼손, 마모, 개
조, 윤활이 필요하거나 지나친 경우, 과도한
노화 및 마모가 있는 등의 파손에 대한 증거
2. 장비에 대한 점검 기준은 사용자 조직에서
설정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제조사 사용 지침
에서 규정하는 기준과 동일하거나 이 보다 엄
격해야 하는데, 그 중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준
수합니다.
3. 점검 시 장비에 대한 결함을 발견하거나 부
적합한 보수유지를 확인한 경우, 장비가 사용
되지 않도록 영구적으로 제거하거나 장비 제
조사 또는 제조사가 임명하는 업체에서 적합
한 보수유지를 시행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합
니다.
보수유지 및 보관
1. 장비에 대한 보수유지 및 보관은 사용자가
속한 조직에서 제조사의 사용 지침에 의거하
여 시행합니다. 사용에 따른 문제는 제조사와
상의합니다.
2. 보수유지가 필요하거나 이를 계획하는 장비
에 대해서는 "사용불가" 로 표시하고 사용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3. 장비는 온도, 빛, 자외선, 과도한 습도, 오일,
화학 및 이의 수증기 또는 기타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