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트의 타임라인 방식과 같습니다 .
편집 페이지 모습. 타임라인의 편집 기능을 사용하여 클립 트리밍, 순서
이동, 위치 이동, 트랜지션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클립 트리밍하기
클립 편집 도중 각각의 숏에서 원하는 특정 액션만 트리밍하여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트리밍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 가장 간단한 방식은 타임라인의 입 / 출력 포인트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
타임라인에 클립을 추가한 다음 마우스 포인터를 클립 시작 부분에 대면 마우스 포인터가
1
트리밍 아이콘으로 변합니다 .
트리밍 아이콘이 나타나면 이를 앞 / 뒤로 드래그하여 타임라인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편집
2
포인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 타임라인 뷰어를 확인하면서 편집 포인트를 찾으세요 .
클립의 마지막 부분을 드래그하여 출력 포인트를 설정하세요 .
3
줌 슬라이더는 타임라인 상단에 도구가 모여 있는 툴바 우측에 있습니다 . 슬라이더를 좌 / 우로
움직이면 타임라인을 확대할 수 있어 더욱 섬세한 조절이 가능합니다 .
섬세한 편집을 작업할 때는 [Snapping] 기능을 해제하는 것이 좋지만 , 클립이 서로 딱 맞닿아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유용한 기능이므로 편집이 끝나면 다시 이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N] 단축키를 사용하면 신속하게 스내핑 기능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
클립의 시작점과 끝지점을 좌/우로 드래그한 다음, 툴바의 스내핑
버튼을 눌러 스내핑 기능을 ON/OFF할 수 있습니다.
스내핑 기능은 클립을 서로 딱 붙이는 기능으로 섬세한 편집 작업 시에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N] 단축키를 사용하면 신속하게 스내핑 기능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
DaVinci Resolve 사용하기
1504